💰/NFT

NFT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물 메타마스크 지갑 그리고 폴리곤 추가 까지

Co_Ri_Ni 2022. 5. 23. 22:23

#1

 

 

 

 

지갑

 

NFT를 시작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지 않을까 싶다. NFT시장은 구매를 하고 팔기 위해 필요한 지갑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어 다니는 그런 지갑이 아니라 가상자산을 저장하고 NFT를 구매하거나 판매할 때 사용하는 그런 지갑 말이다. 대표적으로 메타 마스크라는 게 있다. 메타 마스크를 설치를 하면 붉은여우가 내 마우스 포인트를 따라다니는데 보다 보면 정감이 가는 것 같다.

 


 

 

지갑 설치 전.


https://www.google.com/chrome/

 

Chrome 웹브라우저

더욱 스마트해진 Google로 더 간편하고 안전하고 빠르게.

www.google.com


일단 가장 먼저 필요한 건 크롬 웹브라우저를 설치해야 한다. 옛날 옛적에 사용하던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네이버에서 밀고 있는 웨일 같은 거 말고 구글 크롬이 가상자산 시장에 발을 들여놓았다면 가장 친숙해져야 할 웹브라우저 일 것이다. 웬만한 건 크롬 브라우저가 호환성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

 


 

 

지갑 설치 중.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metamask/nkbihfbeogaeaoehlefnkodbefgpgknn

 

MetaMask

브라우저의 이더리움 지갑

chrome.google.com


메타 마스크 지갑은 사는 게 아니라 설치를 해야 한다. 방금 깔아준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크롬 스토어에 들어가 MetaMask를 검색해 설치를 해주거나 위 링크를 통해 들어가서 설치를 하면 된다. 

 

 

 

 

 

 

설치방법은 간단하다 오른쪽 상단에 빨간색 표시를 해둔 부분을 눌러주면 설치가 된다.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핸드폰으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들어가 게임을 설치하는 방법과 똑같다고 보면 된다.


 

 

 

 

 

설치가 됐다면 저렇게 상단 주소창 오른쪽에 붉은색 여우 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같은 위치에 퍼즐 조각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확장 프로그램'이라는 퍼즐 모양 아이콘을 눌러 붉은여우 아이콘을 찾아 핀셋 고정을 시키면 주소창 오른쪽에 메타 마스크가 뜨게 된다.

 

 

 

 

 

 

 

저렇게 붉은색 여우 아이콘 오른쪽에 보면 핀셋 모양이 있는데 그걸 파란색으로 만들어주면 된다. 본의 아니게 카이 카스라는 앱도 노출이 되었는데 메타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국산 코인인 클레이튼 기반의 연동 지갑이다.

 

 


 

 

지갑 설치 후.


 

 

설치가 끝나면 이런 창이 뜨게 될 텐데 시작하기를 눌러주면 된다. 마우스 포인트가 움직일 때마다 여우의 시선이 따라다닌다. 왠지 모르게 한 바퀴 더 빙빙 돌려보고 시작하기 버튼을 누른다.

 

 

 

 

 

 

 

누른 후 두 번째 화면은 이렇게 나오는데 나 같은 경우 지갑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져오기를 눌러주면 되지만 처음이라면 역시 오른쪽의 지갑 생성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

 

 

 

 

 

 

 

'지갑 생성' 버튼을 누르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마찬가지로 동의함을 눌러주면 된다. 혹시 모르니 약관 내용을 잘 읽어보면 좋겠다.

 

 

 

 

 

 

 

메타 마스크는 여느 가입과는 다르게 비밀번호부터 설정을 한다. 일단 원하는 데로 8자리 이상의 문자나 숫자 특수문자 등을 조합해서 비밀번호를 만든다. 비밀번호는 로그인하는 데에 필요한 1차적인 보안이나 내 PC상에서만 적용되는 비밀번호라고 보면 되겠다. 결국 다른 컴퓨터에서 가져오기를 누르면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거로 알고 있다.



 

 

 

 

비밀번호 생성 후에는 이런 영상과 함께 비밀 복구 구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비밀 복구 구문이 비밀번호보다 하고 내 지갑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역할을 같이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철자하나 틀리지 않고 어딘가에 잘 기록을 해놓아야 할 것이고 나는 보안상의 이유로 따로 수기로 작성을 해놓았다.



 

 

 

 

다음으로 넘어오면 이제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가려져 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단어를 표시하면 자신만 알고 있어야 할 비밀 복구 구문이 등장한다 대부분이 간단한 12개의 단어들을 나열해 놓는데 절대! 절대! 철자하나 틀려서도 안되고 순서도 바뀌면 안 된다. 영어에 자신 있다고 해서 안 보고 쓰다가 틀려서 영영 복구 못 하는 것보다는 하나하나 내가 빼먹은 철자는 없는지, 확인해가며 쓰는 게 좋을 거라 생각된다. 내가 수기로 작성하는 이유는 진짜 혹시 모를 해킹에 대비해서 메모를 해두고 절대 버리거나 잃어버리지 않을 책자나 어딘가에 고이 모셔둔다.



 

 

 

 

그렇게 구문을 적고 나면 2차 확인을 위해 자신이 쓴 백업 구문을 순서에 맞게 클릭하여 나열하면 확인과 가입이 끝난다. 그럼 축하의 메시지를 받고 지갑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필자 같은 경우는 이미 계정이 있기에 메타 마스크를 다시 삭제하고 재설치를 하여 원래 계정으로 복구해주면 된다.

 


 

 

수수료가 저렴한 폴리곤 연동.


이 글을 쓴다고 설치된 메타 마스크를 삭제했더니 메인 넷인 이더리움은 그대로 있지만 폴리곤은 재설정을 해줘야 한다. 귀찮아졌지만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니 지금 설정을 해주도록 하겠다. 메타 마스크 지갑을 만들었고 NFT거래를 할 예정이라면 가스비가 싼 폴리곤 지갑을 사용할 확률이 높기에 여러분들도 지금 해놓는 걸 추천한다.


 

 

메타 마스크를 클릭하고 이더리움 메인 넷을 클릭하면 저런 화면이 나온다. 네트워크 추가 버튼을 눌러 폴리곤을 연동하자.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새창이 열리면서 네트워크 이름, 새 RPC URL, 체인 ID, 통화 기호, 블록 탐색기 URL을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차례대로 입력을 해주면 된다.

 

 

 

 

이렇게 입력을 하고 저장만 해두면 오픈씨 NFT 마켓에서 이더리움보다 가성비적으로 쉽게 거래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메타 마스크를 설치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잠시 언급했던 클레이튼 기반의 카이카스 지갑도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가입을 하면 된다. 오늘은 NFT거래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했던 지갑을 만드는 법을 알아보았고 다음번에는 실제로 NFT를 거래하기 위한 오픈씨(OpenSea)라는 세계적인 NFT 플랫폼에 가입이 아닌 지갑 연동을 해보도록 하겠다.

 


 

 

 

2022.04.28 - [💰/암호화폐] - 가상자산의 성장을 위한 원동력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

 

가상자산의 성장을 위한 원동력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

#1 일단 개인적인 생각을 써 내려가며 과거와 미래에 대한 고찰과 신뢰를 쌓기 위한 나만의 일기장이기에 반박 또는 상대방의 생각을 무시하는 발언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잘 된 또는 잘 못된 투

corinne.co.kr

 

마지막으로 내 글에 흥미를 느낀다면 한 번씩 천천히 둘러보길 바란다. 코린이라 엄청난 지식이나 정보를 갖고 있는 건 아니지만 아무리 개인적인 의견이라도 조금의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된다.